변동성드래그2 인버스 ETF, 하락장 대응 전략일까? 장기투자 시 주의할 점 인버스 ETF란 무엇인가?인버스(Inverse) ETF는 특정 지수의 하락에 따라 수익을 얻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입니다. 예를 들어 KOSPI가 하루에 1% 하락하면 KODEX 인버스 ETF는 1% 수익이 발생하는 식입니다. 지수의 반대 방향으로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승장에서는 손실이 발생하지만, 하락장에서는 위험을 회피하거나 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적 도구로 사용됩니다. 단기 전략에는 유효하지만, 장기 보유는 위험하다인버스 ETF 역시 레버리지 ETF와 마찬가지로 일일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. 이 말은 즉, 하루 단위로 지수와 반대로 움직일 뿐이지, 장기 누적 수익률과는 거리가 있다는 의미입니다. 만약 주가가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는 횡보장에 있다면, 인버스 ETF는 오히려 수.. 2025. 4. 16. 레버리지 ETF, 장기투자에 왜 적합하지 않을까? 레버리지 ETF란 무엇인가?레버리지 ETF는 특정 지수의 일일 변동률을 2배 혹은 3배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입니다. 예를 들어 KODEX 2차전지 레버리지 ETF는 2차전지 지수가 하루에 1% 상승하면 ETF 가격은 약 2% 상승하도록 조정됩니다. 이처럼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트레이딩 목적의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상품입니다.왜 장기투자에는 부적합한가?레버리지 ETF의 핵심 문제는 "복리 효과와 변동성 드래그"입니다. 이 상품은 일일 수익률을 기준으로 매일 리밸런싱되기 때문에, 동일한 수익률을 유지해도 누적 수익률이 실제 지수와 차이가 나기 시작합니다. 예를 들어, 지수가 하루 3% 상승하고 다음 날 3% 하락하면 원 지수는 거의 제자리지만, 레버리지 ETF는 손실이 발생합니다.. 2025. 4. 16. 이전 1 다음